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재테크정보

HUG 안심전세대출 대상주택 대출요건 대출조건 대출의 종류에도 여러가지 대출이 있습니다. 신용대출, 차량담보대출,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받는 대출상품, 그 중 오늘은 내집마련의 한 발자국 다가가기 위한 전세자금대출, 전세자금대출 중에서 가장많이찾는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진행하는 HUG 안신전세대출의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추후 HF 전세보증대출(주택금융공사), SGI 보증보험대출(서울신용보증)에 대해서도 계속 포스팅하겠습니다. HUG 안심전세대출이란 HUG 안심전세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실시하고있는 전세대출, 임차인에게 전세금을 안전하게 보호 받을 수 있는 HUG보증보험이 가입되는 전세대출, HUG 안심전세대출의 승인되면 자동으로 HUG보증보험의 가입이 됩니다. 나의 전세보증금과 은행에서 받은 전세자.. 더보기
적금금리로 예금처럼 선납이연 1-11 방법 장단점 계산기첨부 적금금리로 예금처럼 사용하는 선납이연 지난 포스팅의 이어서 이번에도 선납이연에 대하여 설명할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예금상품의 금리보다는 정기적금의 상품의 금리가 더 높습니다. 그렇지만 눈으로 보이는 금리가 전부는 아닙니다. 정기적금 월 100만원 납입 12개월 8.0%의 상품과 정기예금 1,200만원 12개월 6.0% 상품을 비교하면 눈으로 보기에는 정기예금 6.0% 보다는 정기적금 8.0%의 상품이 더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간단하게 이자계산기로 계산해보면 이렇습니다. 정기적금 월 100만원 12개월 납입 1,200만원 일반과세 세후 이자 439,920원 총 12,439,920원 정기예금 1,200만원 12개월 납입 원금 1,200만원 일반과세 세후 이자 609,120원 총 12,609,120원 정기예.. 더보기
적금금리로 예금가입하는 방법 선납이연 6-1-5 돈을 저축하는 제일 쉬운 방법으로는 적금과 예금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대중적으로는 적금은 목돈 모으기, 예금은 목돈 굴리기라고 합니다. 금리인상을 많이하고 고금리 특판 상품도 많이 출시 하면서 예금은 6%대 상품들이 나오고 적금은 8%에서 많게는 10%적금 상품들도 나오고 있지만 10%상품들을 보면 우대금리라며 이것 저것 조건을 달아두어 진짜로 적용 받을 수 있는 금리는 실상 얼마 안될때가 많습니다. 예금은 6%, 적금은 8% 금리라고 가정하였때 언뜻 보기에는 적금의 8%가 높아 보이지만 실상 이자 계산기를 해보면 12개월 기준 8%에서 절반 가량 밖에 이자를 받지 못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총 납입금 1,200만원을 가정하였을때 예금은 처음 가입하는 당시 1,200만원을 모두 예치 하여 1,200만원.. 더보기
재테크 꿀팁 뭐가 있을까? 재테크 꿀팁 뭐가 있을까? 사회초년생이거나 이제 막 재테크를 시작하시는 분들 아니면 지금까지도 꾸준히 재테크를 실현하고 있으신 분들이 라면 항상 기억해야 하고 항상 습관을 들이고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본인만의 재테크를 완성해 나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적은 금액은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쌓이면 큰 금액이 됩니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우리나라의 속담도 있습니다. 1. 목표를 정할 것 아무런 목표도 없이 달려가면 지칠 수 밖에 없습니다. 예금, 적금을 운용하더라도 하나하나 목표를 가지고 달려가야 골인 지점에 닿을 수 있게 됩니다. 여행자금, 비상금, 노후자금, 결혼 준비, 신혼여행, 주택마련 등 목표를 정하고 본인의 소망을 이룰 수 있도록 중간에 포기하지.. 더보기
5% 고금리 적금 직장인 추천합니다. 5% 고금리 적금 직장인 추천합니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아무래도 고금리 상품을 찾기는 힘들어 그냥 시중은행에 적당히 나오는 적금 상품을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열심히 찾아보면 새로운 상품들은 출시되니 이런 기회를 놓치지 마시고 습관적으로라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제가 열심히 찾아서 공유해 드릴게요.^^ 그렇게 저 또한 오늘 습관적으로 검색하다 보니 시중은행의 3% 금리보다 더 높은 연 5% 금리의 적금상품이 출시하여 공유해드리러 왔습니다. 가입조건 및 우대금리 또한 어렵지 않아 누구나 쉽게 가입할 수 있으면서 한정 판매 상품이라 언제 판매 중단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이 글을 보신 분들은 직장인이 아니더라도 재테크를 하시는 분들 누구든 상품 가입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애큐온 모바일 .. 더보기
20대 적금 추천 정리 2탄 20대 적금 추천 정리 2탄 어제에 이어서 오늘도 20대 적금 추천을 해보려고 합니다. 1탄과 글이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전 글의 적금 또한 추천해드리기 좋은 글이기 때문에 궁금하신 분들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2020/04/11 - [정보다반사] - 20대 적금 추천 정리 1탄) 국민은행 KB내맘대로 적금 가입대상 - 실명의 개인 (공동명의 불가) 가입기간 - 6개월 이상 36개월 이하 (월단위/일단위) 금리 - 최대 연 2.25% 월 납입 한도 - 월 1만원 ~ 월 300만원 우대 금리 - 급여이체, 카드결제계좌, 자동이체 저축, 아파트 관리비 이체, KB스타뱅킹 이체, 장기거래, 첫 거래, 주택청약종합저축, 소중한 날 9가지 항목 중 6가지 선택하고 조건 충족 시 각 연 0.1% p씩 우대.. 더보기
20대 적금 추천 정리 1탄 20대 적금 추천 정리 부모님이 해주시는 적금이 아닌 본인 스스로 적금을 가입하시려는 분들중에 10대부터 하시는 분들도 계실테고 20대가 되도 아직까지 적금1개도 가입하지 않은 분들도 대부분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처음 적금 준비를 하면서 여러가지 알아보고 어느게 좋을지 감이 않잡히게 됩니다. 저도 여러가지 알아보며 요즘 이런저런 상품들이 나오는것들을 보고 굳이 20대가 아니더라도 재테크 하기 좋은 상품들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처음 적금을 가입하려고 알아보시는 분들께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무리한 금액으로 가입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적금 가입까지는 좋지만 만기까지 꾸준히 납입하시기에 부담없이 하나하나 적금을 늘려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 이전 포스팅을 한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20..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적금 꿀 TIP 사회초년생의 재테크 적금 꿀 Tip 사회초년생으로 처음 직장을 다니고 처음 월급을 받게 되면 제일 먼저 조심해야 할 것은 월급을 받은 돈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아무리 월급을 많이 받아도 펑펑 돈을 쓰게 되면 남는 게 없을 것이고, 최저임금으로 시작해서 월급을 받게 되더라도 꾸준히 저축하게 되면 되려 월급을 많이 버는 것보다 더 풍요롭게 살 수 있다. 물론 월급 많이 받고 저축하는 습관까지 있다면 그것 만큼 좋은것도 없겠지만...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우리들은 그럴만한 상황은 아니기에 이렇게 글을 찾아보고 있을 것입니다. 어느 정도 직장생활을 하면서 돈을 쓰고 돈을 모으고 하면서 본인만의 재테크 방법들이 있을 것이지만, 사회초년생들의 경우 여태까지 열심히 공부하고 이제야 직장에 출근.. 더보기

728x90
반응형